2001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1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2001년 5월 23일 밀라노의 산 시로에서 열린 경기로, FC 바이에른 뮌헨과 발렌시아 CF가 맞붙었다.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어 승부차기로 이어졌고, 바이에른 뮌헨이 5-4로 승리하여 우승컵을 차지했다. 바이에른 뮌헨의 골키퍼 올리버 칸은 승부차기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며, 경기 후 발렌시아의 골키퍼 산티아고 카니사레스를 위로하여 UEFA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5월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1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1은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되었으며, 에스토니아가 198점으로 우승하고 23개국이 참가했으며, 강등 제도가 적용되었다. - 2001년 5월 -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공동 개최되었으며, 프랑스가 우승하고 오스트레일리아가 3위를 차지했다. - 2001년 축구 경기 - 2001년 아시안 슈퍼컵
2001년 아시안 슈퍼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2000-01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팀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2000-01년 아시안 컵위너스컵 우승팀 알샤바브가 격돌하여 수원 삼성이 합계 4-3으로 우승한 대회이다. - 2001년 축구 경기 - 2001년 대한민국 슈퍼컵
2001년 대한민국 슈퍼컵은 2000년 K리그 우승팀 안양 LG 치타스와 FA컵 우승팀 전북 현대 모터스가 맞붙어 안양 LG 치타스가 2-1로 승리하여 통산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한 축구 대회이다.
2001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 |
---|---|
경기 정보 | |
![]() | |
대회 | 2000-01년 UEFA 챔피언스리그 |
날짜 | 2001년 5월 23일 |
경기장 | 산 시로 |
도시 | 밀라노 |
관중수 | 79,000명 |
날씨 | 흩뿌리는 구름, 20°C |
주심 | 딕 욜 (네덜란드) |
최우수 선수 | 올리버 칸 (바이에른 뮌헨) |
이전 대회 | 2000 |
다음 대회 | 2002 |
경기 결과 | |
팀 1 | 바이에른 뮌헨 |
팀 1 득점 | 1 |
팀 2 | 발렌시아 |
팀 2 득점 | 1 |
상세 내용 | 연장전 후 승부차기에서 바이에른 뮌헨이 5–4로 승리 |
2. 결승전까지의 여정
2001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 진출하기까지 바이에른 뮌헨과 발렌시아는 3차 예선, 1차 조별 리그, 2차 조별 리그, 8강, 4강을 거쳤다.
바이에른 뮌헨 | 라운드 | 발렌시아 | ||||||
---|---|---|---|---|---|---|---|---|
상대 | 합계 | 1차전 | 2차전 | 예선 | 상대 | 합계 | 1차전 | 2차전 |
- | 3차 예선 | 티롤 인스브루크 | 4–1 | 0–0 (A) | 4–1 (H) | |||
상대 | 결과 | 1차 조별 리그 | 상대 | 결과 | ||||
헬싱보리 | 3–1 (A) | 1차전 | 올림피아코스 | 2–1 (H) | ||||
로젠보르그 | 3–1 (H) | 2차전 | 헤렌벤 | 1–0 (A) | ||||
파리 생제르맹 | 0–1 (A) | 3차전 | 리옹 | 1–0 (H) | ||||
파리 생제르맹 | 2–0 (H) | 4차전 | 리옹 | 2–1 (A) | ||||
헬싱보리 | 0–0 (H) | 5차전 | 올림피아코스 | 0–1 (A) | ||||
로젠보르그 | 1–1 (A) | 6차전 | 헤렌벤 | 1–1 (H) | ||||
F조 1위 | 결과 | C조 1위 | ||||||
상대 | 결과 | 2차 조별 리그 | 상대 | 결과 | ||||
리옹 | 1–0 (H) | 1차전 | 슈투름 그라츠 | 2–0 (H) | ||||
아스널 | 2–2 (A) | 2차전 | 파나티나이코스 | 0–0 (A) |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1–0 (H) | 3차전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0–0 (H) |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3–0 (A) | 4차전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1–1 (A) | ||||
리옹 | 0–3 (A) | 5차전 | 슈투름 그라츠 | 5–0 (A) | ||||
아스널 | 1–0 (H) | 6차전 | 파나티나이코스 | 2–1 (H) | ||||
C조 1위 | 결과 | A조 1위 | ||||||
상대 | 합계 | 1차전 | 2차전 | 결선 토너먼트 | 상대 | 합계 | 1차전 | 2차전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3–1 | 1–0 (A) | 2–1 (H) | 8강 | 아스널 | 2–2 (a) | 1–2 (A) | 1–0 (H) |
레알 마드리드 | 3–1 | 1–0 (A) | 2–1 (H) | 4강 | 리즈 유나이티드 | 3–0 | 0–0 (A) | 3–0 (H) |
바이에른 뮌헨은 1차 조별 리그 F조에서 헬싱보리 IF, 로젠보르그 BK, 파리 생제르맹을 만나 4승 1무 1패로 1위를 차지했고, 2차 조별 리그 C조에서는 리옹, 아스널,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를 만나 3승 1무 2패로 1위를 기록했다. 8강에서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합계 3-1로, 4강에서는 레알 마드리드를 합계 3-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1]
발렌시아는 3차 예선에서 티롤 인스브루크를 합계 4-1로 꺾었다. 1차 조별 리그 C조에서 올림피아코스, 헤렌벤, 리옹을 만나 3승 1무 2패로 1위를 차지했고, 2차 조별 리그 A조에서는 슈투름 그라츠, 파나티나이코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만나 3승 3무로 1위를 기록했다. 8강에서는 아스널과 합계 2-2를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4강에 진출했고, 4강에서는 리즈 유나이티드를 합계 3-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2. 1. 바이에른 뮌헨
바이에른 뮌헨 | |||
---|---|---|---|
상대 | 합계 | 1차전 | 2차전 |
부전승 | |||
상대 | 결과 | ||
헬싱보리 IF | 3–1 (A) | ||
로젠보르그 BK | 3–1 (H) | ||
파리 생제르맹 | 0–1 (A) | ||
파리 생제르맹 | 2–0 (H) | ||
헬싱보리 IF | 0–0 (H) | ||
로젠보르그 BK | 1–1 (A) | ||
F조 우승 | |||
상대 | 결과 | ||
리옹 | 1–0 (H) | ||
아스널 | 2–2 (A) |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1–0 (H) |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3–0 (A) | ||
리옹 | 0–3 (A) | ||
아스널 | 1–0 (H) | ||
C조 우승 | |||
상대 | 합계 | 1차전 | 2차전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3–1 | 1–0 (A) | 2–1 (H) |
레알 마드리드 | 3–1 | 1–0 (A) | 2–1 (H) |
바이에른 뮌헨은 1차 조별 리그에서 헬싱보리 IF, 로젠보르그 BK, 파리 생제르맹을 상대하여 F조 1위를 차지했다. 2차 조별 리그에서는 리옹, 아스널,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를 상대하여 C조 1위를 기록했다. 토너먼트에서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레알 마드리드를 차례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1]
2. 2. 발렌시아 C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4" | 발렌시아
|- style="background:#c1e0ff"
! 상대 !! 합계 !! 1차전 !! 2차전
|-
! style="background:#c1e0ff" | 3차 예선
| align=left| 티롤 인스브루크
| 4–1
| 0–0 (A)
| 4–1 (H)
|- style="background:#c1e0ff"
! 상대 !! colspan="3" | 결과
|-
! style="background:#c1e0ff;" | 1일차
| align=left| 올림피아코스
| colspan="3" | 2–1 (H)
|-
! style="background:#c1e0ff;" | 2일차
| align=left| 헤렌벤
| colspan="3" | 1–0 (A)
|-
! style="background:#c1e0ff;" | 3일차
| align=left| 리옹
| colspan="3" | 1–0 (H)
|-
! style="background:#c1e0ff;" | 4일차
| align=left| 리옹
| colspan="3" | 2–1 (A)
|-
! style="background:#c1e0ff;" | 5일차
| align=left| 올림피아코스
| colspan="3" | 0–1 (A)
|-
! style="background:#c1e0ff;" | 6일차
| align=left| 헤렌벤
| colspan="3" | 1–1 (H)
|-
! style="background:#c1e0ff;" | 최종 순위
| colspan="4" style="text-align:center; vertical-align:top;" |'''C조 우승'''
|-
! colspan="7" |
C조 순위 |
|- style="background:#c1e0ff"
! 상대 !! colspan="3" | 결과
|-
! style="background:#c1e0ff;" | 1일차
| align=left| 슈투름 그라츠
| colspan="3" | 2–0 (H)
|-
! style="background:#c1e0ff;" | 2일차
| align=left| 파나티나이코스
| colspan="3" | 0–0 (A)
|-
! style="background:#c1e0ff;" | 3일차
| align=left|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colspan="3" | 0–0 (H)
|-
! style="background:#c1e0ff;" | 4일차
| align=left|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colspan="3" | 1–1 (A)
|-
! style="background:#c1e0ff;" | 5일차
| align=left| 슈투름 그라츠
| colspan="3" | 5–0 (A)
|-
! style="background:#c1e0ff;" | 6일차
| align=left| 파나티나이코스
| colspan="3" | 2–1 (H)
|-
! style="background:#c1e0ff;" | 최종 순위
| colspan="4" style="text-align:center; vertical-align:top;" |'''A조 우승'''
|-
! colspan="7" |
A조 순위 |
바이에른 뮌헨과 발렌시아의 경기는 120분간의 경기와 승부차기 끝에 바이에른 뮌헨이 승리하여 통산 4번째 우승을 차지했다.[3] 바이에른 뮌헨은 25년 만에 우승했으며, 발렌시아는 2년 연속 결승전에서 패배했다.[3] 이 경기는 페널티킥으로만 득점이 이루어졌고, 바이에른 뮌헨은 한 차례 페널티킥을 실축했다.[3]
|- style="background:#c1e0ff;"
! 상대 !! 합계 !! 1차전 !! 2차전
|-
! style="background:#c1e0ff;" | 8강
| align=left| 아스널
| 2–2 (a)
| 1–2 (A)
| 1–0 (H)
|-
! style="background:#c1e0ff;" | 4강
| align=left| 리즈 유나이티드
| 3–0
| 0–0 (A)
| 3–0 (H)
|}
3. 경기
전반 초반, 파트리크 안데르손의 핸드볼 반칙으로 발렌시아가 페널티킥을 얻어 가이스카 멘디에타가 성공시켰다.[3] 몇 분 뒤, 조슬랭 앙글로마가 슈테판 에펜베르크에게 반칙을 범하여 바이에른 뮌헨도 페널티킥을 얻었지만, 메흐메트 숄의 킥은 산티아고 카니사레스가 막아냈다.[3]
후반전에는 아메데오 카르보니의 핸드볼 반칙으로 바이에른 뮌헨이 다시 페널티킥을 얻었고, 슈테판 에펜베르크가 성공시켜 1-1 동점이 되었다.[3] 정규 시간과 연장전 동안 추가 득점 없이 경기는 승부차기로 이어졌다.[3]
승부차기에서 바이에른 뮌헨의 첫 키커 파울루 세르지우는 실축했지만, 하산 살리하미지치, 알렉산더 치클러가 성공하고 올리버 칸이 즐라트코 자호비치의 킥을 막아냈다.[3] 파트리크 안데르손의 슛은 카니사레스에게 막혔고, 아메데오 카르보니의 슛은 크로스바를 맞췄다.[3] 루벤 바라하와 에펜베르크가 득점하며 서든데스에 돌입했다.[3] 빅상트 리자라쥐와 킬리 곤살레스가 성공시킨 후, 토마스 링케가 득점하고 마우리시오 펠레그리노의 슛을 칸이 막아내면서 바이에른 뮌헨이 승리했다.[3]
칸은 승부차기에서의 활약과 더불어, 경기 후 산티아고 카니사레스를 위로하는 모습으로 UEFA 페어 플레이상을 수상했다.[4]width="120" | 바이에른 뮌헨 발렌시아 득점 1 1 슈팅 19 9 유효 슈팅 5 4 볼 점유율 64% 36% 코너킥 10 3 파울 24 23 오프사이드 2 6 경고 1 3 퇴장 0 0
3. 1. 전반전
발렌시아는 경기 시작 3분 만에 가이스카 멘디에타가 페널티킥을 성공시키며 선제골을 넣었다. 파트리크 안데르손이 페널티 구역에서 핸드볼 반칙을 범했기 때문이다.[3] 바이에른 뮌헨은 몇 분 뒤, 조슬랭 앙글로마가 페널티 박스에서 슈테판 에펜베르크에게 반칙을 범해 페널티킥을 얻었지만, 산티아고 카니사레스가 메흐메트 숄의 킥을 다리로 막아냈다.[3]
3. 2. 후반전
발렌시아는 경기 시작 2분 만에 파트리크 안데르손이 페널티 에어리어에서 반칙을 하여 페널티킥을 얻었고, 가이스카 멘디에타가 이를 성공시켰다.[3] 몇 분 뒤, 바이에른 뮌헨 또한 조슬랭 앙글로마가 슈테판 에펜베르크에게 반칙을 하여 페널티킥을 얻었지만, 메흐메트 숄이 찬 공을 산티아고 카니사레스가 다리로 막아냈다.[3] 바이에른은 후반전에 다시 페널티킥 기회를 얻었다. 아메데오 카르보니가 카르스텐 양커와 헤딩 경합을 하던 중 핸드볼 반칙을 범했기 때문이다.[3] 슈테판 에펜베르크는 이번에는 직접 키커로 나서 카니사레스 골키퍼를 속이며 1-1 동점골을 넣었다.[3] 이후 정규 시간과 연장전까지 득점 없이 경기가 마무리되어 승부차기에 돌입하였다.
3. 3. 연장전 및 승부차기
발렌시아는 경기 시작 3분 만에 파트리크 안데르손의 핸드볼 반칙으로 얻은 페널티킥을 가이스카 멘디에타가 성공시키며 앞서나갔다.[3] 몇 분 뒤, 바이에른 뮌헨도 조슬랭 앙글로마가 슈테판 에펜베르크에게 반칙을 범하여 페널티킥을 얻었지만, 메흐메트 숄의 킥은 산티아고 카니사레스가 다리로 막아냈다.[3]
후반전, 아메데오 카르보니가 카르스텐 양커와의 헤딩 경합 중 핸드볼 반칙으로 바이에른 뮌헨에 또다시 페널티킥이 주어졌다.[3] 슈테판 에펜베르크는 이번 기회를 놓치지 않고 득점에 성공하며 경기를 1-1 원점으로 돌렸다.[3]
정규 시간과 연장전 30분 동안 추가 득점 없이 경기는 승부차기로 이어졌다.[3]
승부차기에서 바이에른 뮌헨의 첫 키커 파울루 세르지우는 실축했지만, 멘디에타는 올리버 칸을 속이며 발렌시아가 리드를 잡았다.[3] 하산 살리하미지치, 욘 카레브, 알렉산더 치클러가 득점하고, 칸이 즐라트코 자호비치의 킥을 막아내며 2-2 동점이 되었다.[3]
이후 파트리크 안데르손의 슛은 카니사레스에게 막혔고, 아메데오 카르보니의 슛은 크로스바를 강타했다.[3] 루벤 바라하와 에펜베르크가 득점하며 승부차기는 서든 데스 방식으로 이어졌다.[3]
빅상트 리자라쥐와 킬리 곤살레스가 여섯 번째 킥을 성공시킨 후, 토마스 링케가 득점하고 마우리시오 펠레그리노의 슛을 칸이 막아내면서 바이에른 뮌헨이 승리했다.[3] 칸은 실망한 발렌시아의 카니사레스를 위로하여 UEFA 페어 플레이상을 수상했다.[4]
3. 4. 상세 정보
2001년 5월 23일, 이탈리아 밀라노의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에서 열린 2000-01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바이에른 뮌헨과 발렌시아의 경기였다. 연장전까지 120분 동안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바이에른 뮌헨이 5-4로 승리하여 통산 4번째 우승을 차지했다.[3] 바이에른 뮌헨은 25년 만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고, 발렌시아는 2년 연속 결승전에서 패배했다.[3]
이 경기는 양 팀 모두 페널티킥으로 득점하고, 바이에른 뮌헨은 페널티킥을 한 차례 실축하기도 했으며, 승부차기에서 승패가 결정되었기 때문에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역사상 "모두 페널티킥"으로 결정된 경기로 기록되었다.[3] 또한, 이 경기는 이전 두 시즌의 준우승팀 간의 대결이었다. 바이에른 뮌헨은 1999년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게, 발렌시아는 2000년에 레알 마드리드에게 패했었다.
바이에른 뮌헨의 감독 오트마어 히츠펠트는 1997년에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를 이끌고 우승한 데 이어, 에른스트 하펠 이후 두 개의 다른 팀에서 유러피언컵을 제패한 두 번째 감독이 되었다.[3] 반면, 발렌시아의 감독 엑토르 쿠페르는 3년 연속 결승전에서 패배하는 불운을 겪었다. 그는 1999년에 마요르카를 이끌고 UEFA 컵 위너스 컵 결승에서 패했고, 2000년에는 발렌시아를 이끌고 챔피언스리그 결승에서 패했다.
경기 내용발렌시아는 경기 시작 3분 만에 가이스카 멘디에타가 페널티킥을 성공시키며 앞서나갔다. 파트리크 안데르손이 페널티 지역 안에서 핸드볼 반칙을 범했기 때문이다.[3] 몇 분 뒤, 바이에른 뮌헨도 조슬랭 앙글로마가 슈테판 에펜베르크에게 반칙을 범하여 페널티킥을 얻었지만, 메흐메트 숄의 킥은 산티아고 카니사레스 골키퍼의 다리에 막혔다.[3]
바이에른 뮌헨은 후반 초반에 다시 한번 페널티킥 기회를 얻었다. 아메데오 카르보니가 카르스텐 양커와의 헤딩 경합 과정에서 핸드볼 반칙을 범한 것이다.[3] 이번에는 슈테판 에펜베르크가 키커로 나서서 카니사레스를 속이고 골을 성공시켜 1-1 동점을 만들었다.[3] 이후 정규 시간과 연장전 30분 동안 추가 득점 없이 경기는 승부차기로 이어졌다.[3]
승부차기에서 바이에른 뮌헨의 첫 번째 키커 파울루 세르지우가 실축했지만, 발렌시아의 가이스카 멘디에타는 성공시켜 발렌시아가 초반 우위를 점했다. 하산 살리하미지치, 욘 카레브, 알렉산더 치클러가 득점을 주고받은 후, 올리버 칸이 즐라트코 자호비치의 킥을 막아내면서 양 팀은 세 번의 킥 후 2-2 동점을 이루었다.[3]
다음 키커로 나선 파트리크 안데르손의 페널티킥은 산티아고 카니사레스에게 막혔고, 아메데오 카르보니의 슈팅은 올리버 칸이 쳐내 크로스바를 맞고 나왔다.[3] 루벤 바라하와 슈테판 에펜베르크가 각 팀의 다섯 번째 키커로 나서서 성공시킨 후, 승부차기는 서든데스 방식으로 돌입했다.[3]
빅상트 리자라쥐와 킬리 곤살레스가 각 팀의 여섯 번째 키커로 나서 성공시켰고, 바이에른 뮌헨의 일곱 번째 키커 토마스 링케가 득점한 반면, 발렌시아의 마우리시오 펠레그리노는 실축했다.[3] 올리버 칸은 펠레그리노가 찰 방향을 정확히 예측하고 막아내면서 바이에른 뮌헨에 우승컵을 안겼다.[3]
올리버 칸은 승부차기에서 맹활약했을 뿐만 아니라, 실망한 발렌시아의 골키퍼 산티아고 카니사레스를 위로하는 스포츠맨십을 보여주어 UEFA 페어플레이 상을 수상했다.[4]
경기 상세 정보
width=120| | 바이에른 뮌헨 | 발렌시아 |
---|---|---|
득점 | 1 | 1 |
슈팅 | 19 | 9 |
유효 슈팅 | 5 | 4 |
볼 점유율 | 64% | 36% |
코너킥 | 10 | 3 |
파울 | 24 | 23 |
오프사이드 | 2 | 6 |
경고 | 1 | 3 |
퇴장 | 0 | 0 |
선수 명단
바이에른 뮌헨 | 발렌시아 | ||||||
---|---|---|---|---|---|---|---|
포지션 | 번호 | 선수 | 비고 | 포지션 | 번호 | 선수 | 비고 |
GK | 1 | 올리버 칸 | GK | 1 | 산티아고 카니사레스 | ||
CB | 4 | 사무엘 쿠포르 | RB | 20 | 조슬랭 앙글로마 | ||
CB | 5 | 파트리크 안데르손 | CB | 12 | 로베르토 아얄라 | ||
CB | 25 | 토마스 링케 | CB | 2 | 마우리시오 펠레그리노 | ||
RWB | 2 | 윌리 사뇰 | LB | 15 | 아메데오 카르보니 | ||
LWB | 3 | 빅상트 리자라쥐 | DM | 19 | 루벤 바라하 | ||
CM | 23 | 오언 하그리브스 | RM | 6 | 가이스카 멘디에타 (주장) | ||
CM | 11 | 슈테판 에펜베르크 (주장) | LM | 18 | 킬리 곤살레스 | ||
AM | 7 | 메흐메트 숄 | AM | 35 | 파블로 아이마르 | ||
AM | 20 | 하산 살리하미지치 | CF | 17 | 후안 산체스 | ||
CF | 9 | 지오바니 에우베르 | CF | 7 | 욘 카레브 |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GK | 22 | 베른트 드레헤어 | GK | 25 | 안드레스 팔로프 | ||
DF | 18 | 미하엘 타르나트 | DF | 5 | 미로슬라브 주키치 | ||
MF | 10 | 치리아코 스포르차 | DF | 34 | 파비우 아우렐리우 | ||
FW | 13 | 파울루 세르지우 | MF | 4 | 디디에 데샹 | ||
FW | 19 | 카르스텐 양커 | MF | 8 | 즐라트코 자호비치 | ||
FW | 21 | 알렉산더 치클러 | MF | 14 | 비센테 로드리게스 | ||
FW | 24 | 로케 산타 크루스 | MF | 23 | 다비드 알벨다 | ||
감독 | 감독 | ||||||
오트마어 히츠펠트 | 엑토르 쿠페르 |
참조
[1]
뉴스
Match officials appointed for Milan final
http://www.uefa.com/[...]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2001-05-21
[2]
웹사이트
History | Weather Underground
http://www.wundergro[...]
Wunderground.com
2012-06-30
[3]
웹사이트
Bayern Munich 1-1 Valencia; Bayern won 5-4 on penalties
https://www.theguard[...]
2018-12-02
[4]
웹사이트
Remember when Olivier Kahn won an award for his actions after 2001 Champions League final
https://www.givemesp[...]
2024-08-09
[5]
뉴스
Spanish teams and their remarkable record in finals: Since 2001, they just don't lose them
https://www.nytimes.[...]
2024-08-09
[6]
서적
UEFA Champions League Statistics Handbook 2016/17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2017-04-22
[7]
웹사이트
History | Weather Underground
http://www.wundergro[...]
Wunderground.com
2012-06-30
[8]
웹사이트
Bayern Munich 1-1 Valencia; Bayern won 5-4 on penalties
https://www.theguard[...]
2001-05-23
[9]
웹사이트
Bayern Munich 1-1 Valencia; Bayern won 5-4 on penalties
https://www.theguard[...]
2001-05-23
[10]
웹사이트
Bayern Munich 1-1 Valencia; Bayern won 5-4 on penalties
https://www.theguard[...]
2001-05-23
[11]
웹사이트
Remember when Olivier Kahn won an award for his actions after 2001 Champions League final
https://www.givemesp[...]
[12]
웹사이트
2.FInals
https://www.uefa.com[...]
uefa.com
2021-02-14
[13]
웹사이트
Match officials appointed for Milan final
https://www.uefa.com[...]
uefa.com
2021-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